전체 글 12

2025년 모던 CSS 완전 가이드: 웹 개발의 새로운 패러다임

웹 개발 생태계가 급속도로 진화하면서, CSS 또한 단순한 스타일링 언어를 넘어서 강력한 레이아웃 시스템이자 인터랙션 엔진으로 발전했습니다. 모던 CSS는 이제 JavaScript의 영역이라고 여겨졌던 많은 기능들을 순수 CSS만으로도 구현할 수 있게 해주며, React나 Vue.js 같은 프론트엔드 프레임워크와 함께 사용될 때 더욱 강력한 시너지를 발휘합니다.이 글에서는 모던 CSS의 핵심 기술들을 살펴보고, 프론트엔드 프레임워크들과의 비교 및 활용 방안을 자세히 다루어보겠습니다.모던 CSS의 정의와 핵심 개념모던 CSS는 2020년 이후 브라우저에서 지원되기 시작한 새로운 CSS 기능들과 기법들을 총칭합니다. 이는 단순히 새로운 속성의 추가를 넘어서, CSS의 근본적인 사고 방식을 바꾸는 패러다임 전..

FE&BE Development 2025.08.07

MSA vs MMA: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와 모놀리식 아키텍처의 대결

개발자라면 한 번쯤은 들어봤을 MSA(Microservices Architecture)와 MMA(Monolithic Architecture). 하지만 이 둘의 차이점을 정확히 알고, 언제 어떤 것을 선택해야 하는지 명확하게 답할 수 있는 개발자는 생각보다 많지 않다. 오늘은 이 두 아키텍처의 모든 것을 파헤쳐보자.들어가며: 아키텍처 선택의 딜레마"우리 서비스에는 MSA가 맞을까, 아니면 모놀리식이 나을까?" 이는 모든 개발팀이 한 번은 고민하게 되는 영원한 질문이다. Netflix, Amazon, Uber 같은 대기업들이 MSA로 성공했다는 소식을 들으면서 "우리도 MSA를 도입해야 하는 거 아닌가?"라는 생각이 들기 마련이다.하지만 결론부터 말하자면, 은총알(Silver Bullet)은 없다. 각각의 ..

Architecture 2025.08.05

GitHub: 개발자들의 협업 천국, 그 모든 것을 파헤쳐보자

개발을 조금이라도 해본 사람이라면 GitHub라는 이름을 한 번쯤은 들어봤을 것이다. 하지만 "그냥 코드 저장소 아니야?"라고 생각한다면, 당신은 GitHub의 진짜 매력을 아직 모르고 있는 것이다. 오늘은 GitHub가 왜 전 세계 개발자들의 사랑을 받는지, 그리고 어떻게 활용해야 하는지 속속들이 파헤쳐보자.GitHub란 무엇인가?GitHub는 2008년 톰 프레스턴-워너, 크리스 완스트래스, PJ 하이엣이 설립한 웹 기반의 Git 저장소 호스팅 서비스다. 단순히 코드를 저장하는 곳을 넘어서서, 전 세계 개발자들이 협업하고 소통하는 거대한 플랫폼으로 성장했다. 2018년 마이크로소프트가 75억 달러에 인수하면서 더욱 주목받게 되었다.Git과 GitHub를 헷갈리는 사람들이 많은데, Git은 버전 관리 ..

SuperClaude: Claude Code를 개발 전문가로 변신시키는 오픈소스 프레임워크

들어가며중요: SuperClaude는 Anthropic의 공식 제품이 아닙니다. 이는 서드파티 개발자들이 만든 오픈소스 프레임워크로, Anthropic의 공식 명령줄 도구인 'Claude Code'를 확장하고 강화하는 역할을 합니다.Claude Code를 사용하면서 매번 같은 설명을 반복하고, 범용적인 답변에 아쉬움을 느끼셨나요? SuperClaude가 바로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탄생했습니다.SuperClaude란 무엇인가?SuperClaude는 Claude Code를 범용 AI 어시스턴트에서 특화된 컨텍스트 인식 개발 파트너로 변환하는 경량 드롭인 구성 프레임워크입니다. 소프트웨어 엔지니어링 원칙을 템플릿 기반 아키텍처로 적용하여 Claude Code의 기능을 대폭 향상시킵니다.핵심 개념Super..

정보관리기술사 KeyNote #2. 소프트웨어공학

소프트웨어 SW특징 - #복순변비무마복 - Brook's Law SW 공학 - 구성요소 : #프작산기도 (#원기언도산) - 원리 : #정관모 추변일점 (정형성, 관심사의 분리, 모듈화, 추상화, 변화예측, 일반화, 점진화) SW위기극복 - 목표 : 품질, 생산성, 일관성 - 관점 : 변경, 비용, 규모 - 위기 : Cost 상승, Delevery 지연, Quality 저하 - 노력 : #공표도품 (공학적, 표준, 도구, 품질) SWEBoK 3.0 - ISO/IEC 24773 - #요설구테유 형관프방품 전경컴수공 SW 교육 - 언플러그드 교육, 알고리즘 학습, 프로그래밍 언어, 피지컬 컴퓨팅(아두이노), Computational Thinking SDLC - #타/요설구테유/폐 폭포수 모델 - 고전적, 하향..

Certification/ITPE 2021.04.15

정보관리기술사 KeyNote #1. IT경영

기업자원 EA/ITA - 정의 : 조직의 전략적 목표와 IT 관리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기업의 IT와 비즈니스 관계를 총괄하여 제시하는 청사진 - Alignment, IT-Buissness, 청사진 - 전략 : 비즈니스 전략, 기업전략, IT전략 - IT 거버넌스 : Control, Compliance, Alignment - 아키텍처 : BA, AA, DA, TA, SA - Enterprise Infrastructure : RM, SP - 가시화, 실천화, 지속화 EAMS - EA산출물, 관리도구 EA성숙도 평가 - #지정활 (지원관리, 정보화 관리체계, 활용성과) - 5단계 - 정보화 추진역량 측정모델(성숙도 모델 v3.4), 2015.3 EA 프레임워크 - ZEAF(자크만), TOGAF(오픈그룹), ..

Certification/ITPE 2021.04.13

The 6 R's (6 Application Migration Strategies from AWS)

Re-Host (Referred to as a "Lift and Shift") - 재호스팅(리프트 앤 시프트) - 변경없이 애플리케이션 이동 - 빠르게 이동 - 재호스팅 툴 사용 (AWS VM Import / Export)하여 자동화 가능 - 클라우드로 마이그레이션 후 최적화 및 재설계 고려 Re-Platform (Referred to as "Lift, Tinker, and Shift") - 플랫폼 재구축(리프트, 땜질, 시프트) - 애플리케이션 핵심 아키텍처는 무변경 - 서버리스, 관리형서비스에 마이그레이션 - 고가의 라이선스가 필요한 Java 애플리케이션 컨테이너에서 오픈소스인 Apache Tomcat 으로 이동 Re-Factor / Re-Architect - 리팩토링 / 리 아키텍트 - 클라우드 네..

Cloud Journey 2021.04.13

CQRS(Command Query Responsibility Segregation)

마이크로서비스의 핵심 설계 철학, CQRS(명령 조회 책임 분리 패턴) - 데이터 저장소에 대한 Read와 Update 작업을 분리하는 설계 패턴 - 구현 시 성능, 확장성, 보안을 최대화 가능 - Update 명령으로 인해 도메인 수준에서 병합 충돌 발생 방지 가능 배경 - 일반적 DB 트랜잭션은 DB로 부터 데이터를 읽어 화면에 출력 (읽는 시점과 출력 시점이 상이함) - 따라서, CRUD중 R과 CUD의 공존은 무의미하며, R의 출력물은 정도의 차이가 있을뿐 실제 데이터와 상이하니, 캐쉬를 사용하여 더욱 빠르게 EndUser가 R할 수 있도록 구현하고, CUD는 메시지 큐를 통해 실제 데이터를 변경시키며, 그 변경이 일어나는 시점에 이벤트를 발생시켜서 캐쉬를 업데이트하는 방식으로 진행 기존 DB트랜..

Cloud Journey 2021.04.13

제116회 정보관리기술사 기출문제 (2018년)

제116회 정보관리기술사 필기시험 치른 후 복기. 미친듯이 400분을 써내렸던 그날. 735(61.25)점 [1교시] - 14페이지 189 / 63.00 문1) 전자서명 20 / 6.6 부인방지 암호화 기술, 전자서명의 개념 전자서명의 매커니즘 및 주요기술 - 그림, 부인방지, 메시지다이제스트, 해시 등등 전서명의 활용, 이중봉투와 이중서명의 설명 문3) 해시 알고리즘 20 / 6.6 단방향 압축 암호화 기법, 해시 알고리즘의 개념 해시 알고리즘의 매커니즘 및 주요기술 - SHA1의 매커니즘으로 설명, 저항성(1, 2역상저항성, 충돌저항성), 단방향, 압축, 효율, 메시지다이제스트 해시의 문제, 극복방안 - 빠른속도, 비둘기집의 원리, 생일문제, 저항성, 솔트, 키 스트레칭 등 문4) 교착상태 18 / ..

Certification/ITPE 2021.04.13

마이크로서비스의 도입을 위한 고민

마이크로 서비스가 무엇인지? As-Is 시스템의 결합도와 응집도에 대해 정확한 측정이 가능한가? 어렵고 어려운 마이그레이션 계획수립 클라우드 네이티브 기술요소의 선정 조직과 문화의 변화는 Top-Down? 모놀리틱의 분활언 어떻게? 디자인 패턴 데이터와 데이터베이스 도입과정에서의 무수하게 직면하는 문제와 해법찾기 모톨리틱 시스템의 클라우드로의 전환을 위해서는 단순히 Lift & Shift로는 의미도 없고, 목표점이 아니다. 우리의 애플리케이션과 데이터베이스가 마이크로서비스로의 전환이 수반되었을 때 클라우드 마이그레이션의 지향점이 분명해 진다. 그 전환의 과정에서 쉽지 않은 고민들과 애로사항들, 그리고 직면하는 문제들에 대한 해법을 위한 고민은 프로젝트 내내 여러가지 포인트에서 첼린지를 받곤 한다. 단순히..

Cloud Journey 2021.04.12